본문 바로가기

뉴스/한국

靑 "金 서울방문 여러상황 고려 돼야···서두를 의사 없어"

靑 "金 서울방문 여러상황 고려 돼야···서두를 의사 없어"

안갯속 김정은 연내 방남 한반도 정세 고비 될 한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조선 노동당 위원장)의 연내 서울 방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9일 기자들에게 "상황에 진전이 없어 발표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또한 "특별한 징후는 없다"면서 북한 관계자가 방한할 가능성도 없다고 했습니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올해 서울 방문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내년 초도 가능할 거라 예상 중입니다. 


청와대는 계속 추진해온 김 위원장의 올해 서울 방문을 실현시키기 위해 준비 작업이 필요하다며, 9일까지 북한 측으로부터 통보가 없으면 안된다는 견해를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계속되는 북한의 묵묵부답에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되, 노심초사하지는 않고 있다"며 기다려보자는 입장으로 전환했습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 시기를 놓고 이달 중순부터 20일경까지 등 다양한 관측이 난무하는 가운데, 청와대는 북한 측에 구체적인 시기를 제안한 적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에서 통지가 있을 경우 약 10일간의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대로라면 내년 초로 미뤄질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방남에 반대하는 의견도 적지 않습니다. 보수측인 자유한국당의 김병준 의원은 9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설에 대해 “지금은 답방보다 지연된 비핵화 협상 진전에 저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며 “어떤 의제로 회담할지 국민에 설명해야 한다”고 밝히며 민주국가로서 최소한의 자존심과 격은 지켜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는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가 먼저 지적한 바 있으나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난처할 것 아니냐"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